5월 1일 ‘근로자의 날’에 일하는 알바생·직장인들

기사와관련없는사진/상속자들

만약 근로자의 날에 쉬게 된다면 석가탄신일인 4월 30일부터 5월 3일까지 4일을 연속으로 쉴 수 있다. 5월 4일에 휴가를 낸다면 5월 5일까지 6일간의 꿀 같은 연휴를 즐길 수 있는데

하지만 5월 1일에 출근하는 불쌍한 직딩·알바생들에게는 근로자의 날은 딴 세상 이야기다.

27일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알바콜이 직장인 105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26.1%가 근로자의 날에 출근할 예정이라고 답하였다.

여전히 많은 사람이 출근하지만 업종별 출근 비율은 지난해에 비해 눈에 띄게 떨어졌다고 한다.

기사와관련없는사진/ 온라인커뮤니티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입은 업종인 여행·숙박·레저·공연 업종의 출근 비율은 지난해 46%에서 올해 24.3%로 크게 하락하였다.

절반 이상인 55%가 출근했던 교육·교사 강사 등 교육 분야도 올해 29.4%만 출근한다.

출근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32.6%가 “업 직종 특성상 출근이 불가피해서”라고 했으며 18.6%가 “공휴일이 아니라서”, 14.6%가 “회사에서 출근을 강요했다”고 답하였다.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는 직장인의 절반은 제대로 된 보상도 못 받았다. 출근하는 근로자의 49.8%가 “아무런 보상이 없다”고 밝혔다.

기사와관련없는사진/ 풍문으로들었소

근로자의 날은 법정 공휴일이 아닌 유급휴일로 분류된다. 그 때문에 회사는 근로자가 근무하지 않아도 급여를 지급해야 한다. 이날 근무하게 된다면 휴일 수당을 추가로 받게 된다고 한다.

휴일에도 근무하는 이들 덕분에 누군가는 감사함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급하게 방문한 편의점이라든지 맛있는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에서 쉬지 않고 일하는 사람들 덕에 편안한 휴일을 누릴 수 있다.

만약 본인이 5월 1일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는 불쌍한 영혼일지라도 다가올 월급날을 생각하며 힘내보자.

기사와관련없는사진/ 복면가왕

[저작권자 ⓒ코리안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